나만의 작고 귀여운 오라클 무료서버 만들기 (1) - Cent OS + nginx

오라클 클라우드는 특정 인스턴스는 평생 무료이다.. 오라클 클라우드로 나만의 작고 귀여운 서버를 셋팅 해보자...

간편한 클라우드로의 마이그레이션
기업이 가장 까다로운 워크로드를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특별히 구축 및 최적화된 차세대 IaaS 및 PaaS 클라우드를 살펴보세요.

일단 오라클 계정이 필요하다 가입! 가입 후 아래 내용을 따라하면 된다..

좌측 상단 햄버거버튼을 클릭 후 "Pinned Links"에서 Virtual Cloud Networks 클릭
Start VCN Wizard 클릭
당신의 작고 귀여운 서버가 포함될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설정 클릭
이름입력 클릭
클릭 하면 일단 서버가 포함될 네트워크는 구성되었다!
이제 인스턴스를 생성하자 'Pinned Links'에서 Instances 클릭
클릭
이런 화면이 나오면 Image and shape에서 Edit 클릭
Always Free Enable 박스가 있는 OS 중에서 마음에 드는것을 선택 후 Select Image 클릭
네트워킹메뉴 Edit 클릭
아까 만든 작고 귀여운 서버가 포함될 네트워크로 설정되어있다면 맞다
밑에 Add SSH keys 메뉴에서 Save Private Key 클릭(이거 안해주면 망함...작고 귀엽지만 접속할 수 없는 서버)
위 설정을 완료하면 설정에 따라서 작고 귀여운 서버를 만드는중이라고 이런 화면이 나타남.. 빨간박스 클릭
public ~ 클릭
클릭
포트를 열어줘야함 그래야 당신의 작고 귀여운 서버가 해당 포트로 요청을 받을 수 있음 빨간박스 클릭
용도에따라 필요한 포트를 열어준다 설정 후 빨간박스 클릭
아까 받아둔 키와 작고 귀여운 서버의 User Name과 주소를 이용하여 ssh 로그인 시도(키 잘 보관해야함... 없으면 망함...)
yes!
ssh 접속완료!
  • 접속 전에 chmod를 이용해서 .key파일의 권한을 적절하게 설정해주자..

작고 귀여운 서버에 접속해서 아래 과정을 순서대로 따라한다

sudo vim /etc/yum.repos.d/nginx.repo

#아래 내용 입력 후 저장
[nginx]
name=nginx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7/$basearch/
gpgcheck=0
enabled=1

#repo update 및 nginx 설치
sudo yum update -y
sudo yum install nginx -y

#방화벽 설정(Cent OS 기준입니다...)
sudo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tcp --permanent
sudo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443/tcp --permanent
sudo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3000/tcp --permanent
sudo firewall-cmd --reload

sudo iptables -I INPUT 5 -i ens3 -p tcp --dport 80 -m state --state NEW,ESTABLISHED -j ACCEPT
sudo iptables -I INPUT 5 -i ens3 -p tcp --dport 443 -m state --state NEW,ESTABLISHED -j ACCEPT
sudo iptables -I INPUT 5 -i ens3 -p tcp --dport 3000 -m state --state NEW,ESTABLISHED -j ACCEPT
#nginx 시작
sudo systemctl start nginx
이제 브라우저로 당신의 작고 귀여운 서버의 아이피로 접속하면 nginx 초기화면이 나온다!
gilee

gilee